티스토리 뷰
자동차 앞 유리에 주행 속도와 내비게이션 등의 정보를 비춰주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UD).
별 도움이 안된다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지만, 실제로 운전에 도움이 된다는 사람들이 더 많이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장점과 단점, 사용자 평가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란?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는 전면 유리나 전용 투영판에 정보를 비춰주는 시스템입니다.
원래는 군용기 등에 사용되던 기술로, 전방을 주시하면서 속도나 네비게이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죠.
요즘 일정 등급 이상의 차량에서는 기본으로 탑재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장점 3가지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안전성 면에서 많은 도움을 주게 됩니다.
또한 사용에 익숙해지면 장거리 운전시의 피로 경감에도 도움이 됩니다.
장점 1. 전방 부주의를 막아준다.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운전석 앞쪽에 정보가 표시됩니다.
그래서 시선의 이동이 최소화 되어, 전방을 계속 주시하면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장점 2. 신속한 정보 파악
최근에는 사각 경고 등 안전에 관련된 정보를 알려주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위험한 상황의 신속한 인지와 판단, 그리고 대응으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차량의 과속 여부도 쉽게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장점 3. 피로가 경감된다.
우리는 운전하는 동안 수 미터 ~ 수 십 미터의 앞을 보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 네비게이션 화면 등을 보려면 초점을 수십cm 이내로 다시 맞춰야 하죠.
이러한 행동이 반복되면 눈에 상당히 피로를 주게 됩니다.
하지만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쓰게 되면, 운전자의 시야에서 일정 거리에 정보가 항상 비춰지고 있는 상태가 됩니다.
그래서 눈의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편하고, 눈의 부담도 훨씬 적어지게 됩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단점 2가지
안전성 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몇 가지 단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단점 1. 차량의 가격 상승 요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차량은 당연히 차량의 가격도 높아집니다.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상태라면 신경이 덜 쓰이지만, 옵션으로 선택하게 되는 경우 고민하게 되는데요.
예를 들어, 현대 자동차에서 HUD를 탑재하면, 보통 100만 이상의 추가 비용이 발생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단점 2. 익숙하지 않다.
사실 사람에 따라서는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없어도 큰 불편이 없을 수 있습니다.
오히려 시야의 앞에 뭔가가 걸리적거리는 것이 있어서 불편하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는데요.
이런 분들에게는 오히려 단점이 될 수 있겠습니다.
결론은?
지금까지 운전하는데 별 불편함이 없다면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익숙해 진다면 편리한 기능은 확실하며, 안전성도 높아지게 됩니다.
예산이 허락한다면 탑재하는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
특히 초보 운전이거나 처음으로 큰 차량을 구매하게 되는 등의 경우는 전방에서 시선을 떼는 경우는 결국 리스크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속도로 등에서는 빠른 정보의 확인과 판단이 요구되기 때문에 탑재를 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그래도 탑재가 고민된다면, 시승을 통해서 실제로 체험에 보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짧은 시간이겠지만, 이것 만으로도 적지 않은 참고가 될 수 있을 겁니다.
2017.05.05 - [자동차 상식] - 카본 세라믹 브레이크가 비싼 이유는? 장단점과 탑재 차종까지!
2017.04.12 - [자동차 상식] - NA 엔진이란? 터보와 자연 흡기 엔진의 비교!
'자동차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중립(N)은 언제 사용해야 될까? (1) | 2024.05.16 |
---|---|
어퍼 마운트란? 어퍼 마운트의 구조와 특징은? (0) | 2017.07.25 |
자동차 에어컨이 고장났다! 자동차 에어컨의 고장 원인 (0) | 2017.07.09 |
펜더 미러란? 장점 및 단점을 알아봅니다! (0) | 2017.07.03 |
단수가 없는 변속기! CVT미션에 대해서 한번 간단하게 알아봅시다! (0) | 2017.06.23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