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의 머플러에서 큰 소리와 함께 불꽃이 뿜어져 나오는 현상인 "애프터 파이어". 개조를 통해 의도적으로 일으키고 있는 경우와, 엔진의 문제로 발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정말 멋있어 보이는 "애프터 파이어" 입니다만, 엔진의 문제로 인해 불길이 뿜어져 나오고 있다면 정말 주의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애프터 파이어"가 발생되는 자세한 원인과 그 대책에 대해서 확실하게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애프터 파이어가 뭐야? 차량을 개조하여 애프터 파이어를 일으키고 있는 영상 애프터 파이어는 엔진 내부에서 연소하지 못한 미 연소 가스가 배기 매니폴드나 머플러 내의 열에 의해 인화하여 큰 소리와 함께 불꽃이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현상입니다. 외형이나 소리가 화려하고 멋있어서, 애프터 파이어를 ..
엔진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공기를 깨끗하게 만들어주는 에어 필터. 에어 필터가 더러워지면 연소 효율이 저하되어 연비와 가속 성능의 저하가 발생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에어 필터의 효과 및 교환시기와 교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에어 필터(에어 크리너)란? 에어 필터는 엔진에 들어가는 불순물을 제거해 줍니다. 자동차의 엔진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공기와 연료를 혼합한 "혼합기"를 연소하여 동작하게 됩니다. 외부에서 들어온 공기에 먼지 등의불순물이 섞여 더러워지면 연소 효율이 저하되어 가속 성능과 연비가 저하되거나, 엔진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외부에서 들어온 공기에서 불순물을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를 엔진에 보내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에..
필러(Pilla)는 자동차 부위의 명칭인데요, 도대체 어떠한 부위를 가르키는 용어일까요? 또한 필러의 종류와 필러의 역할은? 그리고 가끔 들을 수 있는 필러리스는 또 무엇인지, 이번 포스팅에서 정리해 봤습니다. 필러란? 필러(Pilla)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기둥, 기둥 모양의 것 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자동차에서도 사전상의 의미와 비슷하게 창문의 기둥을 의미합니다. 또한, 영국 영어로는 포스트(Post)도 비슷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필러로 통일하여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이미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필러는 바디와 루프를 연결해주며, 차체를 지탱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각 기둥 사이에는 유리창이 존재합니다. 필러의 명칭은 차체 전방부터 A 필러, B 필러, C 필러, ..
일반적으로 오픈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만, "컨버터블", "카브리올레", "스파이더" 등 사실 오픈카의 명칭은 다양합니다. 들어본 적이 있을 수 있지만, 각 명칭의 차이를 정확하게 설명하기는 어려운데요. 오픈카의 명칭과 대표 차종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픈카의 종류, 여러분들은 알고 계신가요? 화창하고 따뜻한 날씨에 한번 타보고 싶은 것이 바로 오픈카 일텐데요. 일반적으로 "오픈카"라고 통칭하여 부르고 있지만, 오픈카 들도 여러가지의 명칭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 혹시 알고 계셨나요? "컨버터블", "카브리올레", "스파이더" 등으로 나눠지지만, 그 차이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 생각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픈카의 명칭과 의미에 대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오픈카의 종류 오픈카는 기..
최근 많은 자동차에 적용되고 있는 CVT이지만, 도대체 어떠한 매력이 있어서 적용되고 있는 것 일까요? 그 밖에도 흔하게 접할 수 있는 AT와는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CVT의 장점과 그리고 AT와의 차이점 등을 정리해 봤습니다. CVT란? "CVT"는 "Countinuosly Variable Transmission"의 약어로, 한국어로는 "무단 변속기" 또는 "연속 가변 변속기" 라고 불리는 동력 전달 장치 입니다. CVT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하이브리드에 사용되는 CVT를 제외하면 대부분 벨트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두 풀리(Pully) 사이에 벨트를 거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벨트가 걸리는 부위는 V자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유압으로 V자 사이를 좁히거나 또는 넓히는 방..
자동차 카달로그에 표시되는 제원 항목에 "토크"나 "마력"이라는 단어가 등장합니다. 무엇이 어떻게 다른지 애매한데요, 실은 서로 다르지만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그 의미에 대해서 이번 포스팅에서 간단하게 정리해 봤습니다. 토크는 "자동차의 순발력, 회전력"을 나타내는 지표 토크는 자동차의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힘 입니다. 토크는 "자동차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힘"을 말합니다. 토크 1kg/m은 하나에 축에 1미터 짜리 막대리를 직각으로 달고, 그 끝에 1kg의 추를 달았을 때, 축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말합니다. 토크의 크기는 자동차의 "가속력"이나 "언덕을 오르는 힘" 그리고 "연비"와 밀접하게 얽혀 있습니다. 자동차의 출발시나 가파른 오르막 등 자동차를 미는 힘이 필요할 때는 높은 토크가 필요합니다...
자동차의 엔진을 오랫동안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노킹 등의 이상 증상에 대해서 빠르게 눈치채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노킹 현상이란 무엇인지, 실제로 어떠한 증상이 발생되는 것 일까요? 엔진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무척 신경이 쓰이는 증상이라 생각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엔진에서 발생되는 노킹이란? 노킹이란? 노킹은 연료가 이상 연소를 일으켜 엔진의 부 자연스러운 진동이나 이상음이 나오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인 엔진에서 가솔린과 공기가 혼합된 연료를 실런더 내에 보내게 되고 피스톤에 의해 압축한 뒤 점화 플러그에 의해 점화, 폭발시켜 피스톤을 반대로 밀어내어 차량의 동력을 발생시킵니다. 그리고 엔진은, 피스톤을 상하로 움직이는 폭발에 의해 동력을 얻기 때문에,..
다운 사이징 터보가 장착된 차량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터보의 종류도 여러가지가 존재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트윈 스크롤 터보와 싱글 터보와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각각 어떠한 장점이 있는지 그리고 탑재하고 있는 차종은 무엇이 있는지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더욱 가까워진 터보 차저 "터보"는 "터보 차저"의 약어 "터보"는 "터보 차저"의 약자로, "과급기"라고도 합니다.터보는 스포츠카에 탑재되는 장치라는 인식이 아직 많이 남아 있는데요. 터보 엔진을 승용차에 처음 탑재하기 시작한 것은 독일의 폭스바겐 입니다.물론 자동차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행활에서 사용해야 하는 도구 이므로, 고 회전에서 힘을 쥐어짜는 듯한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설계되지는 않습니다. 배기량은 가능한 작게 설계하..
AT차량(자동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이 MT차량(수동 차량)에 비해 크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그런데 왜 크기에 차이가 있는 것 일까요? 그 힌트는 "왼발 브레이크"에 있습니다! 브레이크 페달의 크기는 자동차의 역사와도 관계되어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AT차량과 MT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을 비교해 보자! ↓ AT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 MT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AT차량(자동 차량) 및 MT차량(수동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의 크기 차이를 아시겠나요? AT차량만 운전해보신 분들은 좀처럼 모를지도 모르겠습니다. 위의 사진을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듯이, 브레이크 페달은 AT차량이 좀더 크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국산차, 수입차 모두 거의 같은 경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왜 A..
이번엔 브레이크 계의 혁명이라고 불려졌었던 ABS(Anti-Lock Break System)에 대해서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Anti-Lock 이라는 문장에서 알 수 있듯이, 잠기지 않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그렇다면 도대체 무엇이 잠기지 않는다는 것일까요? 자동차의 브레이크는 보통 디스크 방식과 드럼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디스크 방식은 캘리퍼라는 장치가 디스크 패드를 이용해 디스크를 꽉 잡아줍니다.(보통 자전거 앞 브레이크를 떠올리면 쉽습니다.) 드럼 방식의 경우도 디스크 슈라는 것이 드럼 안쪽면을 쭈욱 밀어주면서 제동이 걸리게 됩니다. 그런데, 브레이크의 마찰력이 바퀴의 회전수보다 커지게 되면 바퀴가 완전히 멈춰버리게 되는데요.당연히 바퀴가 멈춰버렸으니 방향전환은 불가능하겠죠? 차량 운행 중 ..
- Total
- Today
- Yesterday